본문 바로가기
KNOWLEDGE/지식의기술[지식최적화]

서울시의 '위기극복 재난지원금' 지급내용(정부재난지원금 별도)

by · DATE 2021. 3. 22.

서울특별시와 25개 자치구에서 코로나 19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과 취약계층을 위해 정부의 4차 재난지원금과는 별개로 4월에 추가 재난지원금을 지급한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시기가 시기인지라 자칫 오해를 살 수도 있지만 서울시는 기존의 정부 재난지원금 대상에서 제외된 피해업종에 대한 지원과 청년 미취업자에 대한 지원, 소상공인에 대한 무이자 대출, 기초생활수급자 등 저소득층에 대한 지원으로 정부지원금의 사각지대를 보완해서 지급하기로 결정한 것이라고 합니다.

 

위기극복 재난지원금 브리핑

 

올해 초 코로나 직접 피해 기업에 대한 8,000억 저리 융자, 민생경제 5대 온기 대책 1조 5천억에 이은 올해 세 번째 민생경제 지원대책이라고 합니다.

 

지원금 규모는 5,000억원 상당으로 25개 자치구가 2,000억 원, 서울시가 3,000억 원을 부담하며 융자금을 포함한 실제 지원규모는 약 1조 원에 이른다고 하며 각 지원내용의 발표 초안은 아래와 같습니다.

 

 

서울시·자치구 1조원 규모의 '위기극복 재난지원금'

 

위기극복 재난지원금 지원내용

"소상공인, 취약계층, 지원 사각 업종 3대 분야 12개 사업에 영업피해, 고정비용 높은 서울시의 특성을 고려해 두텁게 지원하고 정부지원의 사각지대를 보완하겠다"


1. 소상공인 지원 1,989억원

①서울경제 활력 자금

· 정부의 4차 재난지원금과 별개로 집합금지·제한업종 27만 5000개 업체에 60만 원에서 최대 150만 원씩 지급

(집합금지 업종 : 정부지원금 500만 원 + 서울경제활력 자금 150만 원 = 650만 원)

· 폐업 소상공인 - 90일 이상 사업을 유지하다가 2020년 3월 22일 이후 폐업한 집합금지 제한업종 48,000곳 피해 지원금 50만 원씩 지급

 

 

 

2. 취약계층 지원 1,351억 원

①미취업 청년 취업장려금

· 2년 내 미취업 청년(19세 ~ 34세) 17만 명 1인당 50만 원 지역사랑 상품권(제로 페이) 지원

②취약계층 생활지원금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법정 한부모가족 등의 취약계층 46만 명 1인당 10만 원 지원

 

 

3. 정부 재난지원금 대상에서 제외된 지원 사각 업종

· 마을·전세·공항버스 운수종사자와 법인택시 운수종사자 3만 명 피해 지원금 50만 원씩 지원

· 프리랜서, 계약직과 시간제 노동자 비율이 높은 문화, 예술계 1만 명 1인당 100만 원 지원

· 관광, MICE 업계 5인 미만 소상공인 5,000곳 업체당 200만 원 지원

· 노인요양시설(1,036곳) · 지역아동센터(429곳) · 어린이집(5,081곳) 업체당 100만 원 지원

 

4. 소상공인 무이자 융자 5,000억 원

· 소상공인 대상 약 25,000명에게 2,000만 원 한도 / 1년 무이자 융자 (5,000억 원 규모)

 


코로나 19로 힘든 서울시민에게 작은 버팀목이 되고 싶다는 서울시·자치구 위기극복 재난지원금 지급은 4월 초부터 순차적으로 지급될 예정이며 22일 온라인 브리핑을 통해 발표된 내용이니 정확한 지급 안은 아래 보도자료를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위기극복 재난지원금 구성 내용 확인하기

 

 

 

서울특별시 문서뷰어.html
0.00MB

경남 청년 드림카드 '구직활동 수당 지원사업' 참여방법

 

경남 청년 드림카드 '구직활동 수당 지원사업' 참여방법

경상남도와 경상남도 경제진흥원에서 경상남도 내 미취업 청년의 활발한 구직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2021년 경남 청년 드림카드(경남 청년 구직활동 수당 지원사업) 참여자를 모집한다고 합니다

surisurimasuri.tistory.com

♠전기요금 복지할인 '전기요금 30%할인 적용대상은?'

 

전기요금 복지할인 '전기요금 30%할인 적용대상은?'

블로그 운영을 하면서 새로운 정책이나 복지제도를 찾아보는 경우가 많은데 가끔은 나도 알지 못한 새로운 제도에 우리나라가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살기 좋은 나라'구나 싶을 때가 많으며 정

surisurimasuri.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