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NOWLEDGE/지식의기술[지식최적화]

4대보험 계산기 - 2021년 4대보험요율표

by · DATE 2020. 11. 24.

급여생활자로서 연말이 되면 내년 연봉에 대해서 한 번쯤 생각을 하고 넘어갈 부분이 분명 연봉 또는 급여는 인상이 되었으나 체감하는 급여는 예전보다 덜 받는 것 같은 느낌이 들 때가 있습니다.

물론 급여명세서를 통한 투명한 공개가 이루어지는 부분이 99%의 경우이지만 여전히 내가 받기로 한 급여에서 왜, 어느정도의 세금이 공제되어 나가는지 모르는 근로자도 많은 것 같습니다.

귀찮은 상황을 떠나 상호간의 믿음과 응원 속에서 발전해 나가는 사업체가 되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것을 지키는 것에서 비롯된다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오늘은 급여에서 공제되어 나가는 4대보험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고 2021년도 인상되는 보험요율과 함께 이롭게 이용되고 있는 4대 보험 계산기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급여공제 4대보험료 항목

 

 

1-1. 건강보험료

건강보험은 질병이나 부상 등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진료비로 인해 가계에 부담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국민이 평소 보험료를 납부하게 되고 보험자인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이를 운영 관리하여 필요시 보험급여를 제공하여 국민 상호 간에 위험을 분담하고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사회보장제도 중 하나입니다.

 

▶2020년도 기준 건강보험요율 계산 : 보수월액 X 6.67% (사업주부담 50% / 근로자부담 50%)

 

1-2. 장기요양보험료

고령화의 진전과 함께 개인이나 가계의 부담으로 인식되던 장기요양 문제가 점차 사회적 국가적 책임으로 확대되면서 건강보험제도와는 별개로 노후생활의 안정을 도모하고 그 가족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사회보험제도로써 2008년 7월부터 고지 및 급여의 개시가 이루어졌습니다.

 

▶2020년도 기준 장기요양보험요율 계산 : 건강보험료 X 10.25% (사업주부담 50% / 근로자부담 50%)

 

2. 국민연금 (연금보험료)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공적 연금제도로 국민 개개인이 소득활동을 할 떄 납부한 보험료를 기반으로 나이가 들거나 갑작스러운 사고나 질병으로 사망 또는 장애를 입어 소득활동이 중단된 경우 본인이나 유족에게 연금을 지급함으로써 기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금제도입니다.

 

▶2020년도 기준 연금보험료 계산 : 기준소득월액 X 9% (연금보험료율 사업주부담 50% / 근로자부담 50%)

※기준 소득월액 : 국민연금의 보험료 및 급여 산정을 위하여 가입자가 신고한 소독 월액에서 천 원 미만을 절사 한 금액으로 최저 31만원 ~ 최대 503만 원까지입니다. (2020년 7월 1일 ~ 2021년 6월 30일)

 

3. 고용보험 (실업급여)

근로자가 실직한 경우에 생활안정을 위하여 일정기간동안급여를 지급하는 실업급여 사업과 함께 구직자에 대한 직업능력개발 향상 및 적극적인 취업알선을 통한 재취업의 촉진과 실업예방을 위하여 고용안정사업 및 직업능력개발사업 등의 실시를 목적으로 하는 사회보험입니다.

 

▶2020년도 기준 고용보험료율 계산 : 근로자(실업급여부담금) 보수월액 X 0.8% / 사업자 실업급여부담금 0.8% + 고용안정 직업능력개발사업 150인 미만 사업장 0.25%

 

4. 산재보험료

공업화가 진전되면서 급격히 증가하는 산업재해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1964년에 도입된 우리나라 최초의 사회보험제도로써 산재 근로자와 그 가족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하여 국가가 책임을 지는 의무보험입니다.

사업주의 근로기준법상 재해보상책임을 보장하기 위하여 국가가 사업주로부터 소정의 보험료를 징수하여 그 기금으로 사업주를 대신하여 산재근로자에게 보상을 해주는 제도입니다.

 

▶산재보험료 계산 : 보수총액(월 평균보수) X 보험료율 ÷ 1000 (사업자부담 100%)

※산재보험료율은 사업종류별 세분화되어 개별 확인 필요

 

그렇다면 만일 2020년도 150명 미만의 사업장에서 급여 300만원으로 근무하는 경우 위와 같은 보험료율로 계산하여 산출하게 되면 아래와 같습니다.

 

 

여기까지 4대보험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이는 국가에서 운영하는 사회보장제도로써 국민의 안정적인 생활보장을 위한 정책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비록 정해진 급여에서 세금이 공제되어 나가는 부분이 아까울 때도 있지만 사회보장제도를 통한 혜택을 보게 된다면 더욱 그 의미가 크게 다가올 수 있으니 또는 미가입 상태로 장기 근무 시 본인에게 불이익이 발생할 수도 있으니 반드시 가입하도록 합시다.

 

2021년 4대보험 보험료율 인상

이미 최저시급은 현재 상황에 의해 역대 최저 인상률이기는 하지만 확정 발표되었으며, 4대 보험 요율 인상에 대해서는 속속들이 확정 뉴스가 나오고 있습니다.

 

 

2021년 건강보험요율은 이미 2020년 대비 2.89% 인상이 확정되었다고 뉴스가 나왔습니다. 계산을 해보니 2.85% 정도 인상이네요.

직장보험 가입자의 경우 월평균 본인부담  보험료가 119,328원에서 122,727원으로 3,399원정도 증가할 예정으로 보입니다.

2021년 장기요양보험요율은 2020년 대비 1.27% 인상된 11.52%로 확정되었습니다. 직접계산해보니 1.24% 정도 인상입니다.

국민연금 요율은 2020년도와 동일한 9%로 확정되었습니다.

2021년 고용보험요율은 아직 정확히 공식적으로 나온 것은 없지만 인상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정해진 연봉, 급여를 계산기 두드리며 계산하다 스스로 답답함을 느끼게 되었고 간단히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알아보다 온라인상에 많은 4대 보험 계산기를 알게 되었습니다.

4대 보험 계산기로 내가 받을 실제 급여 알아보기

어차피 4대 보험요율에 대해서는 공부를 하였으니 이를 기초적인 지식으로 계산기에서 산출되어 나오는 값에 대한 이해가 될 수 있다고 봅니다.

또한 계산기에서 사용되는 요율이 업데이트가 되지 않아 예년의 요율을 적용할 수 있으니 인상되는 요율과 계산식을 알고 계시면 개인적으로 계산에 적용하여 내년에 받아야 할 또는 인상되어야 할 급여에 대해서도 쉽게 계산을 하실 수 있을 겁니다.

 

▶[찾아줘세무사] 4대보험 계산기 바로가기

 

찾아줘 세무사! 국내 최대 세무사 비교 견적 어플리케이션

국내 1위 세무사 비교 플랫폼. 세무업무 고민이신가요? 귀하의 업무에 맞는 세무사를 찾아드립니다.

www.findsemusa.com

▶ [국민연금공단] 4대보험료 계산기 바로가기

 

국민연금 | 4대 보험료 간편 계산기

 

www.nps.or.kr

 

이외에도 검색창에서 4대보험 계산기를 검색하시면 다양한 결과가 나오는데 대부분이 해당 연도의 4대보험요율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결괏값에 큰 차이는 없었습니다.

 

♠ [2021년최저시급] 연도별 최저시급 - 2021년 최저임금 계산과 주휴수당

 

[2021년최저시급] 연도별 최저시급 - 2021년 최저임금 계산과 주휴수당

이제 올 한 해도 두어 달이 채 남지 않은 시점에서 참 어려운 상황을 견디어 나가고 있는 실정입니다. 잘하고 있다는 다독거림으로도 부족한 이 시점에 다가오는 2021년을 바라보면 어느 해보다

surisurimasuri.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