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 중대한 위기점이 되지 않을까 불안한 마음도 이제 조금씩 거둘 수 있는 막바지에 들어서 있는 상황이며 여전히 꽃샘추위가 남아있지만 입춘(立春)과 함께 찾아올 봄소식에 마음은 조금 누그러드실 겁니다.
오늘은 봄이 시작된다는 절기인 '입춘(立春)'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내용들을 모아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24절기 구분과 계절의 상관성
일 년을 12절기와 12중기로 나누어 보통 24절기라고 하는데 절기는 매월 4일에서 8일 사이에 오고, 중기는 매월 19일에서 23일 사이에 오게 됩니다. 그렇다면 매월 2개의 절기가 반드시 포함되고 계절당 6개의 절기로 이루어져 3개월마다 바뀌는 계절을 변화를 나타냅니다.
봄의 시작 입춘(立春) - 여름의 시작 입하(立夏) - 가을의 시작(立秋) - 겨울의 시작(立冬)
하지만 24절기는 중국의 계절을 기준으로 하였기 때문에 한국의 기후와는 꼭 맞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자료에서는 이 절기는 계절과 기후를 나타내는 기초가 되고 천문학적으로는 태양의 궤도인 황도의 황경이 15º 씩 이동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24절기가 정해지고 황경이 0º인 날을 춘분으로 하여 90º인 날이 하지, 180º인 날이 추분, 270º인 날이 동지이며 춘분에서 하지 사이를 봄, 하지에서 추분 사이를 여름, 추분에서 동지 사이를 가을, 동지에서 춘분 사이를 겨울이라 하며 4계절의 기본으로 삼는다고 합니다.
절기에 따른 4계절 : 춘분(春分) - 봄 - 하지(夏至) - 여름 - 추분(秋分) - 가을 - 동지(冬至) - 겨울 - 춘분(春分)
'입춘(立春)'을 음력 정월의 절기로 24절기의 시작과 봄의 시작으로 보는 입장은 역사적 근거로 한자권 문화에서 남아있기도 하며 사주학에서 띠의 구분을 입춘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고 하기도 한답니다.
하지만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마음으로 받아들이는 봄의 시작을 의미하는 '입춘'과 그 내용에 대해서만 잘 이해하고 있으면 될 것입니다.
2. 입춘의 풍속 - 입춘방
입춘이 되면 새봄을 맞이하는 의미로 대궐에서 문관들이 임금에게 지어 올린 글 중에서 잘 지어진 글을 선택해 연꽃무늬를 그린 종이에 적어 대궐의 대문 좌우측에 여덞팔자(八) 형태로 붙였는데 이것이 춘첩자(春帖子)이며 민간에서는 봄을 축하하는 춘련(春聯)을 붙였는데 이것이 춘축(春祝)이라고 합니다.
이때 댓구에 맞추어 두 구절씩 쓴 춘련을 대련(對聯)이라 부르며 집안의 기둥이나 대문, 문설주 등에 두루 붙인다고 합니다.
민간 춘첩자(春帖子) = 춘련(春聯) - 봄을 축하하는 입춘첩(立春帖)·입춘축(立春祝)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가장 많이 쓰이는 입춘축으로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한다'는 의미이며 집집마다 앞서 말한 대련의 형태로 입춘축을 써서 붙이며 봄을 맞이하고 경사를 맞이하는 풍속입니다.
일반적으로 입춘대길 건양다경과 함께 다른 문구로는 아래와 같은 문구가 있습니다.
· 부모천년수 자손만대영(父母千年壽 子孫萬代榮) : 부모는 천년을 장수하고 자손은 만대까지 번영한다.
· 수여산 부여해(壽如山 富如海) : 산처럼 오래살고 바다처럼 재물이 쌓인다.
· 소지황금출 개문백복래(掃地黃金出 開門百福來) : 땅을 쓸면 황금이 생기고 문을 열면 만복이 들어온다.
· 국태민안 가급인족(國泰民安 家給人足) :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평안하며 집집마다 살림이 부족함없이 풍족하다.
· 우순풍조 시화세풍(雨順風調 時和歲豊) : 비가 순조롭고 바람이 고르며 시절이 화평하고 풍년이 든다.
· 문신호령 가금불상(門神戶靈 呵噤不祥) : 문의 신과 집안의 신령이 지키고 있으니 불길한 것을 쫓아내 준다.
이러한 입춘첩은 입춘 당일에 시(時)를 맞추어 붙여야 효험이 있다고 하여 각 가정에서는 미리 입춘첩을 준비하였다가 입춘 당일 시간에 맞추어 대문에 붙이며 이를 떼어내지 않은 채 매년 입춘에 맞춰 입춘첩을 덧붙이는 것이 관례이나 요즘은 어느 정도 기간이 지나면 입춘첩을 제거한다고 합니다.
그 외에도 입춘의 민속풍속으로는 '아홉차리'라 하여 각자 맡은 바에 따라 아홉 번씩 일을 되풀이하면 일년동안 '복 (福)'을 받고 그렇지 않으면 '액(厄)'을 받는다고 하여 글방의 아이들은 천자문을 아홉번 읽고, 나무꾼은 아홉짐의 나무를 하며, 아낙들은 아홈가지의 빨래를 하며, 밥을 먹어도 아홉 번, 매를 맞아도 아홉 번을 맞았다고 합니다.
또한 입춘 전날 밤에는 많은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좋은 일을 하면 일 년 내내 액을 면한다는 '적선공덕행(積善功德行)'과 함께 지역별 다양한 풍속도 있다고 합니다.
3. 2021년 신축년 입춘 절입 시간
입춘 절입 시간은 위에서 태양의 황경이 315º에 이르는 시간을 말하며 이 절입시간에 맞추어 입춘첩을 붙인다고 하며 올해 '2021년 입춘일은 2월 3일이며 절입시간은 23시 59분'입니다.
2021년 입춘 절입 시간 : 2월 3일 수요일 밤 11시 59분
4. 입춘에 먹는 음식
입춘날은 입춘 절식이라 하여 궁중에서는 오신반(五辛盤 : 다섯 가지 자극성이 있는 나물로 만든 음식)을 수라상에 얹고 민가에서는 세생체(細生蒂)를 만들어 먹는다고 합니다.
오신반은 오신채라고도 하며 겨자와 함께 무치는 생채(파, 부추, 미나리, 달래, 마늘, 무릇 등) 요리로 추운 겨울을 지내는 동안 결핍되었던 신선한 채소의 맛을 보게 한 것이며 이것을 본떠 민가에서는 입춘날 눈 밑에 돋아난 햇나물을 뜯어다가 무쳐서 입춘 절식으로 먹는 풍속이 있다고 합니다.
지역마다 조금씩의 차이는 있으며 함경도에서는 민간에서 입춘날 명태순대를 만들어 먹었다고 합니다.
입춘이 지나고 나서도 날씨가 추워지면 '입춘을 거꾸로 붙였나'라고 하며 '입춘 추위는 꿔다 해도 한다'는 말처럼 입춘 무렵에는 반드시 추위가 있다는 뜻이 있습니다. 입춘의 의미를 마음으로 받아들이셔서 마음에 봄을 우선 맞이하시고 힘들 때일수록 지푸라기라도 잡아본다고 입춘방 정성껏 써서 한번 붙여보시기 바랍니다.
아홉차리와 적선공덕행도 실천합시다.
Point.
1. 입춘은 24절기의 시작으로 봄을 알리는 2월의 절기입니다.
2. 입춘의 풍속에는 입춘방 붙이기, 아홉차리, 적선공덕행 등이 있습니다.
3. 2021년 입춘은 2월 3일이며 입춘 절입 시간은 23시 59분입니다. 입춘방 준비해 주세요.
2021년 손없는날 '손없는날 계산하기'
연말연시면 항상 북적이던 분위기에서 마지막 12월 31일 해맞이를 계획하던 게 엊그제 같은데 1년이라는 시간이 훌쩍 사라져 버린 듯 또다시 연말이 찾아왔습니다. 덕분에 집안에서 연말을 보낼
surisurimasuri.tistory.com
♠2021년 삼재 띠 - 삼재의 의미와 띠별 해당연도 계산방법
2021년 삼재 띠 - 삼재의 의미와 띠별 해당연도 계산방법
안 좋은 일이 생기거나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 간혹 '삼재(三災)라서 그런가?'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이것 참 믿을 수도 없고 안 믿을 수도 없고, 원래 사람은 좋은 것은 믿고 싶고 안 좋은 것
surisurimasuri.tistory.com
'KNOWLEDGE > 지식의기술[지식최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차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신청일정, 포천시 재난지원금 추가지급 (1) | 2021.01.28 |
---|---|
자영업 손실보상제 '상생연대 3법' 소급적용 불가 (0) | 2021.01.28 |
농식품 바우처 카드 '2021년 농식품 구입비 지원 사업' (0) | 2021.01.26 |
한국장학재단 '2021년 푸른등대 기부장학금 신청' (0) | 2021.01.25 |
소부장 으뜸기업 22개 '선정 이후 관련주 상황' (0) | 2021.0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