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NOWLEDGE/지식의기술[지식최적화]

동백전 - 부산 지역화폐로 복귀 '10% 캐시백 재개'

by · DATE 2021. 1. 7.

지갑안에 빳빳한 지폐를 넣어놓고 기분좋아하던 때가 있었지만 이제는 캐시리스. 현금은 보이지않고 다양한 혜택의 카드가 경제지표를 대신해주는 척도가 된지 오래입니다.

그 중에서도 요즘 지자체별로 많이 발행되어 사용되고 있는 지역화폐가 인기이며 그 중 부산광역시의 대표적인 지역화폐 '동백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동백전 - 부산 지역화폐로 복귀


지난해 부산광역시의 예산소진으로 중단되었던 동백전 캐쉬백이 1월 9일부터 재개된다는 발표가 있었습니다. 올해 상반기 확보된 600억원의 캐쉬백 예산 규모를 고려해 월 한도 30만원까지이며 30만원을 사용하면 10%인 3만원을 돌려받게 된다고 하네요.

 

"동백전" - 부산 지역화폐로의 복귀는 지역내 소비진작에 도움이 될 것으로 확신하며 이번에는 계획된 예산안 안에서 지속 가능한 지역화폐로 자리잡을 수 있을까요?

 

 

부산 지역화폐 '동(同) + 백(百) + 전(錢)'

부산의 시화인 동백꽃과 화폐를 의미하는 '전(錢)'을 합성한 명칭으로 소상공인과 시민, 전통시장이 함께 상생 협력하여 소비의 선순환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로 100가지 행복과 즐거움을 준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 발행주체 : 부산광역시

· 유효기간 : 발행일로부터 5년

· 사용처 : 사업장이 부산광역시인 신용카드 가맹점

· 제한업소 : 백화점,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 (SSM) 온라인가맹점, 프랜차이즈 직영점, 주소가 부산이 아닌 사업장 등

 

 

▣ 동백전 신청하고 10%캐시백 받기


부산지역화폐 동백전 신청방법 [ 출처 : 동백전 홈페이지]

 

1. 동백전 신청방법

· 온라인 신청 - 회원가입 - 카드신청 - 카드발급 및 인편 배송 - 충전 - 사용

: 스마트폰 안드로이드(구글플레이), 아이폰(앱스터어)에서 동백전 앱을 다운로드, 설치한 후 동백전 앱에서 회원가입 후 동백전 체크카드를 신청하면 2 ~ 3일 내 우편으로 배송됩니다.

이 때 준비물은 신분증과 은행계좌번호가 필요합니다. (하나 / 부산 / 농협 / 국민 / 신한 / 우리 / 기업 / SC제일은행 중) 

 

동백전 온라인 신청방법 [출처 : 동백전 홈페이지]

 

· 오프라인 신청 - 부산광역시 부산은행 / KEB하나은행 / NH농협은행 전 지점 방문 (준비물 : 스마트폰, 신분증) - 충전 - 사용 

: 부산은행 / 하나은행 / 농협을 방문하여 각 은행의 연결계좌를 통해 동백전 체크카드의 발급, 수령이 가능합니다.

 

· 부산 시민이 아니더라도 신청방법은 위와 동일하며 미성년자(만 14세 이상)의 경우 아래 준비물을 지참하셔서 은행을 방문하여야 합니다.

: ①학생, 보호자 신분증 (학생증, 여권 등) ②주민등록등본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③방문은행(부산 / 하나 / NH농협은행)의 계좌

 

2. 동백전 사용혜택

결제 즉시 캐시백 적립 : 누적 0 ~ 30만원까지 10%

 

 

3. 동백전 충전 방법

동백전 충전 방법 [출처 : 동백전 홈페이지]

동백전 카드를 수령한 후 '동백전 앱(APP)'에서 첫번째 충전 시에는 사용핼 해당 계좌를 등록하여야 합니다.

다음으로 스마트폰 화면 좌측 하단의 충전하기 버튼을 눌러서 원하는 금액을 충전할 수 있습니다.

 

4. 동백전 사용 팁(TIP)

동백전 사용 팁 [출처 : 동백전 홈페이지]

· 이용내역 조회 : 동백전 앱의 [메뉴] - [이용애역]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소득공제 : 동백전 카드를 사용하시면 체크카드와 동일하게 30%의 소득공제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카드이용 편의성 : 삼성페이와 LG페이 등록이 가능하므로 카드를 소지하지 않더라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 자동충전 : 잔액 또는 지정일 기준으로 자동충전이 가능합니다.

 

 

♠동백전 홈페이지에서 동백전 자세히 알기

♠동백전 공식 블로그 가기


동네 슈퍼에서 물건을 사고 포인트 적립을 해도 1%가 적립되더군요. 그에 비해 동백전 지역화폐 카드를 사용하면 10%가 캐시백된다니 매일매일이 크게 다가오지는 않더라도 아이들 학원비라든지 재래시장 식료품구입 등 일정 사용처를 지정하여 사용한다면 월 3만원의 비상금이 생기는 셈입니다.

3만원 모아서 뭐하냐구요? 1년이면 36만원이 저의 재태크 자산으로 형성될 수 있습니다.

 

조기예산소진 방지를 위해 월별 발행한도를 1,000억 규모로 정해 2월까지 우선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며 지역화폐 결제 시스템과 부가서비스 운영사업자 (뉴스에서 KT와의 부가서비스 운영사업자 계약문제로 이슈가 되었다는)를 2월에 다시 선정해 3월중에는 더 다양한 기능과 혜택을 탑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사용자에게의 캐시백과 다양한 혜택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을 지 기대가 되는 부산관역시 지역화폐 '동백전'이야기 였습니다.

 

♠청년저축계좌 '2021년 청년통장을 찾아라'

 

청년저축계좌 '2021년 청년통장을 찾아라'

주말에 시간이 남아 주식공부도 할 겸 방황하다가 요즘 '핫'하다던 카카오TV에서 방영 중인 '오늘도 개미는 뚠뚠'이라는 프로그램을 넷플릭스에서도 시청을 할 수 있어 한참을 보다가 참 많이 웃

surisurimasuri.tistory.com

♠4차 재난지원금 논의로 거듭난 '2차 전국민 재난지원금'

 

4차 재난지원금 논의로 거듭난 '2차 전국민 재난지원금'

3차 재난지원금 선별지원으로 가장 큰 불을 먼저 끄기로 했습니다. 소상공인 280만명 대상, 2차 재난지원금보다 상향 지원, 영업금지 업종 300만원, 집합제한 업종 200만원, 연 매출 4억 이하 매출감

surisurimasuri.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