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NOWLEDGE/지식의기술[지식최적화]

[보조금 24] '내가 받을 수 있는 국가보조금 정부 24에서 확인하기'

by · DATE 2021. 3. 1.

또다시 선별지원으로 가닥 잡힌 4차 재난지원금 소식이 들려오니 3월 초 확정안을 발표하여 3월 말경에 지급 예정이라고 합니다. 정부이 공식적인 지원제도에 해당이 되지 않아 속상하신 분들이 많으신듯한 댓글들이 많이 보이고 있는데 재미있는 댓글 중 '더 넓게, 더 두텁게, 더 신속하게(재난지원금 3대원칙)라 적고 선별지원이라고 읽는다'라는 댓글이 심금을 울리네요. 발표된 협의안이 거의 확정안인만큼 사각지대의 힘든 분들에게 큰 희망이 될 수 있기를 바라며 오늘은 재난지원금 못지않은 정부 보조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4차 재난지원금 '나도 받을 수 있나요?' 대상과 지급방안

 

 


정부·지자체 보조금 얼마나 알고 있나요?

'수리수리 마수리' 블로그에도 많은 정부 보조금 정책들이 포스팅되어 있지만 사실 중앙정부나 지자체에서 국민들에게 제공하는 보조금의 종류는 셀 수 없이 많답니다. 하지만 문제는 어떤 정부 보조금이 있는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자신이 해당되는지 알아볼 수도 없지만 이러한 정보의 사각지대에서 전혀 혜택을 받지 못하는 사람들도 많다는 것입니다.

 

보조금 24 안내 카드뉴스

실제 주위에서 듣거나 어디서 본 것 같다며 자세한 정보를 물어보시는 분들도 많지만 중요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가지시고 계신 분들도 많다는 것입니다. 그러다가 정확한 정보를 습득하지 못하면 금세 잊어버리시고 넘어가시는 분들이 실제로 너무나도 많습니다.

 

보조금 24 안내 카드뉴스

이제 앞으로는 이러한 정부·지자체의 다양한 혜택을 한 곳에서 모두 확인하고 본인에게 해당되는 혜택을 신청할 수 있는 서비스를 누구나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준비(시범운영)되고 있으며 곧 서비스 개통 예정이라고 합니다.

 

중앙부처 보조금 300여 종의 서비스 - '정부 24' 홈페이지의 '보조금 24' 서비스


절대 알아야 할 정부 24의 '보조금 24' 서비스는?

국민 누구나 손쉽게 정부 24 홈페이지에서 보조금 24 서비스를 이용하시면 개인에게 해당되어 지원받을 수 있는 보조금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①일일이 찾아다닐 필요 없이 정부 23 홈페이지에서 한 번에 확인 가능하며 ②개인정보 입력 없이 이용 동의 한 번으로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접근성을 높였으며 앞서 말한 ③정보취약계층은 주민센터에서 자세히 안내받으실 수 있습니다.

 

 

 

사각지대의 소외계층이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을 몰라서 못 받는 경우가 없도록 정부혜택을 쉽게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입니다.

 

 

2021년 4월 서비스 정식 개통을 앞두고 2월 24일부터 13개 시군구 지역에서 시범서비스가 진행되고 있으며 시범운영 지역으로 선정된 13개 지역의 주민들은 정부 24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본인이 해당되는 정부의 혜택을 확인하고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보조금 24 확인 [정부 24 홈페이지] 바로가기

 

 

2월 24일 수요일부터 13개 시군구에서 시범서비스를 실시합니다.

인천(연수·미추홀), 대구(동·서·수성·달서·달성), 충남(보령·아산·서산·서천·청양·홍성)


'보조금 24' 확인하는 방법

 

온라인으로 확인하는 방법

①정부 24(www.gov.kr) 또는 정부 24 앱에서 로그인 후 [보조금 24] 메뉴를 클릭합니다.

②서비스 이용 동의를 최초 1회 체크합니다.

③내가 받을 수 있는 [정부혜택]을 확인하시고 신청 가능합니다.

- 정식 서비스 개통 전까지는 시범지역에서만 확인이 가능합니다.

 

오프라인으로 확인하는 방법

①본인 신분증을 지참하여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합니다.

②[보조금 24] 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합니다.

③받을 수 있는 [정부혜택] 목록을 수령하여 상세 내용을 확인 후 신청이 가능합니다.


POINT

1. 정부나 지자체에서 받을 수 있는 보조금은 실제 '몰라서'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앞으로 정부 24 홈페이지의 '보조금 24' 서비스를 통해 모든 혜택을 한눈에 확인하고 본인에게 적용되는 혜택을 선택하여 신청하실 수 있도록 합니다.

3. 2월 24일부터 전국 13개 지역에서 시범서비스가 시작되었으며 서비스의 정식 개통은 2021년 4월 예정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