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들에게 문을 열어주는 주식 액면분할
주식을 분할한다고, 왜? 주식 액면가액을 일정한 분할비율로 나누어 주식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액면분할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어떤 주식의 시장가격이 과도하게 높게 형성되어 주식거래가 부진하거나 신주발행이 어려운 경우에 이루어집니다.
①주가 100만원(액면가 1,000원)짜리 주식 - "사고싶어도 비싸서 못사요."
②거래량 감소 → 액면분할(액면가 1,000원 → 200원으로 5 : 1 분할)
③액면분할 후 주가 20만원(액면가 200원)으로 변경 - 거래량 증가
주식의 액면가는 주당 100원 / 200원 / 500원 / 1000원 / 2500원 / 5000원으로 이루어지며 액면가에 따라 주식의 좋고 나쁨을 구분하지는 않습니다.
액면분할 즉, 단순히 주식을 쪼갠다는 의미이므로 주주의 권리 즉 어떤 자본이득이나 자본손실도 일어나지는 않습니다.액면분할로 인해 주식의 가격이 낮아지면 주식거래가 활발해질 수 있으며 이에따라 자연히 자본이득이 발생할 수 있는 심리적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지요.
자본시장의 투자금액에는 한계가 있지만 터무니없이 높은 가격의 주식이라면 접근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입니다.
한 주의 가격이 50만원인 주가의 주식을 5분의 1 비율로 액면분할하게 되면 주가의 가격은 5분의 1인 가격으로 나누어지게 되어 한 주의 가격이 10만원이 되며 한 주의 주식은 다섯 주로 늘어나게 되는 원리입니다.
액면분할의 예시 삼성전자
예전 우리의 국민주인 삼성전자는 2017년 1월 주가가 장 중 200만원을 돌파하면서 신호가 시작되었으며 그해 말 287만원까지 상승한 주가에 2018년 4월 액면가 5천원의 주식을 50 : 1로 액면분할하여 250만원의 주가를 액면가액 100원, 주가 5만원으로 낮추게 되었습니다.
자금의 압박으로 액면분할을 시도하지도 않았을테고 국민주식이지만 주당 250만원이라는 주식의 가격에 개미들은 삼성전자 주식 한 주도 사기 힘든 시장의 구조상 액면분할을 통한 삼성전자 주식 매매라는 시장의 문턱을 낮처주어 유통량을 늘리면서 지금의 삼성전자 주가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우리의 일상이 된 카카오, 그러나..
우리의 일상에 가깝고 쉬운 친구같은 카카오는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왜 주식만은 그리 멀게만 보이는지 불과 일년전만 하더라도 주당 15만원정도에 자리잡던 카카오 주식이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혜주로 각광받으면서 급등하기 시작했고 시가총액 코스피 9위로 주당 가격이 50만원에 이르면서 더 이상 우리의 일상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카카오는 없었습니다.
시장 유통의 감소세를 눈치챈 것인지 우리의 카카오가 주식 액면분할을 한다고 하지요. 유통주식수를 늘리기 위해 1주당 가액을 500원에서 100원으로 분할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습니다.
카카오 주식분할 결정 공시
주식분할 내용 : 1주당 가격 500원 → 100원
발행주식 총수 : 88,704,620주 → 443,523,100주
일단 유통주식수 확대를 주식분할목적으로 명시해두었습니다.
아무래도 현재 주당 가격이 50만원에 상응하면서 이를 액면분할한다고 주주의 손익이 발생하는 부분은 아니겠지만 주식분할로 인한 매수가가 낮아지면 아무래도 심리적인 진입장벽이 낮아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주가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시장에서의 가치는 올라갔을지 모르지만 발행주식의 한계와 함께 찾아온 거래의 한계에 공급량을 늘릴 수만 있다면 유통량의 증가로 인한 기대심리를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액면분할로 인한 주가상승을 확정지을 수는 없지만 50만원짜리 주식 한 주에 접근하기보다는 소액분할된 다섯 주를 보유하는 입장이 매수, 매도의 측면에서도 마음이 편한 것이 사실이며 이러면서 주가 상승의 기대심리가 생기는 것이지요.
액면분할 일정
공시를 통해 2021년 3월 29일 주주총회를 통과하면 2021년 4월 12일부터 14일까지 매매정지기간을 가진 후 2021년 4월 15일부터 신주 상장으로 거래가 재계되게 됩니다.
액면분할이 호재가 아니냐구요?
주당 약 50만원짜리 주식이 액면분할을 통한 10만원짜리 주식으로 거듭난다고 이미 언급한대로 주주의 권리가 변경되거나 주식의 가치가 변동되어서는 안되며 그렇게 될 확신도 없지만 사람 마음이라는 것이 주가에 대한 부담감이 줄어드니 '나도 시장에 한번 참여해볼까'라는 생각에 매매량이 증가할 것이고 자연스럽게 주가가 상승할 것이다라는 심리상태를 가지게 됩니다.
즉, 액면분할로 인한 심리적인 안정세를 가져오는 부분은 호재일 수도 있으나 실제 주가영향에 끼치는 영향력은 쉽사리 판단할 수 없습니다. 오히려 낮아진 진입장벽에 거래량이 늘어나면 주가의 변동성이 높아져 안정세를 찾기까지는 어느정도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POINT
1. 주식 액면분할은 높은 주식가격에 유통주식수를 확대하고 주당 가격을 낮춤으로써 매매량을 늘리고 시장의 진입장벽을 낮춰줌으로 주가상승의 기대효과도 덤으로 가져갈 수 있습니다.
2. 액면분할은 주주의 권리나 주식 가치의 변동은 없으나 기대효과 정도를 가질 수는 있으며 벌써 카카오주식의 액면분할 공시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3. 최근 약 50만원대의 카카오 주식은 주주총회를 거쳐 매매가 재계되는 4월15일부터는 액면분할로 인해 약 10만원의 주가로 변경될 것이며 만일 카카오 주식을 10주를 보유하고 있다면 아래와 같이 변경됩니다.
현재 약 50만원의 카카오주식 1주 → 액면분할 후 약 10만원의 카카오주식 5주
'KNOWLEDGE > 지식의기술[지식최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 전기차 보조금 '차종별 국고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 (0) | 2021.03.04 |
---|---|
메타버스(Metaverse), 현실이 된 가상세계와 메타버스 관련주 (0) | 2021.03.03 |
[보조금 24] '내가 받을 수 있는 국가보조금 정부 24에서 확인하기' (0) | 2021.03.01 |
4차 재난지원금 '나도 받을 수 있나요?' 대상과 지급방안 (0) | 2021.03.01 |
3기 신도시 대박 도시계획 '홈페이지에서 사전청약 알림신청하기' (0) | 2021.02.26 |
댓글